안녕하세요 오늘은 2023년 서울시 청년수당 2차 참여자 모집에 대하여 지원대상, 신청자격, 접수기간, 신청방법 및 절차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서울시 청년수당에 대해서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텐데요. 서울시 청년수당은 [서울특별시 청년기본조례]에 따라 서울거주 미취업 청년의 진로준비 및 생활안정 지원을 위해 서울시가 청년들에게 지급하는 수당입니다. 그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원대상 및 신청자격
먼저 지원대상을 알아보겠습니다. 지원대상은 만 19~34세의 서울시 거주자로서 최종학력 졸업 후 현재 미취업 상태에 있는 사람입니다.
출생기준으로는 1988년 6월 1일~2004년 6월 30 출생자입니다. 한편 대학이나 대학원 재학생 및 휴학생은 최종학력이 졸업이 아니므로 신청이 불가합니다. 다만 단기근로자(주 30시간 또는 3개월 이하로 계약된 근로자)는 신청이 가능합니다.
소득요건도 있는데요, 2023년 5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신청 불가)
그 밖에도 서울시 청년월세지 사업, 고용노동부 청년내일채움공제 등 유사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은 동 사업에 참여가 제한됩니다.
접수기간
접수기간은 2023년 6월 12일(월) 오전 10부터 6월 14일(수) 오후 4시까지입니다. 접수기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미리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지원내용
지원대상에 선정된다면 금전적, 비금전적 지원을 받게 됩니다. 금전적으로는 매달 50만 원을 6개월 동안 지원받으며 그 밖에 진로 구체화, 자존감 회복 등 미취업 청년들을 위한 지원을 제공받게 됩니다. 다만 현금으로 지급받는 것은 아니며 체크카드를 받아 사용하면 되는데 이 카드는 해외사용이 제한되며 국내에서도 호텔, 주점, 귀금속 등 50여 개 업종은 사용이 제한된 카드이니 유의하셔야 하겠습니다.
신청방법 및 절차
청년수당 신청은 청년 몽땅 정보(youth.seoul.go.kr) 접속 후 온라인으로 접수하시면 됩니다. (직접 접수 및 우편접수 불가)
접수하실 때 pdf나 jpg 파일로 준비하셔야 할 서류가 있는데요
모든 신청자는 온라인 접수 시 최종학교(중고교, 대학, 대학원) 졸업증명서 (또는 수료증)을 업로드해야 합니다.
또한 단기근로자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증빙할 수 있는 근로계약서 등의 서류도 업로드해야 합니다.
그리고 월별 활동계획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 합니다. 사업 참여기간 동안의 활동 목표나 청년수당의 사용계획 등을 작성하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2023년 서울시 청년수당 2차 참여자 모집에 대하여 지원대상, 신청자격, 접수기간, 지원내용, 신청방법 및 절차의 순서로 알아보았습니다.
예비선정자 발표는 2023년 7월 5일 18시 (예정)이고 선정되실 경우 청년수당 1회차 지급일은 7월 28일(예정)입니다.
모두 접수기간내에 신청 잘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